IP
송신 호스트와 수신 호스트가 패킷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하는 정보 위주의 규약.
OSI 네트워크 계층에서 호스트의 주소 지정과 패킷 분할 및 조립 기능 담당.
패킷들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최종 목적지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패킷 전달 여부를 보장하지 않고, 순서 역시 보장하지 않음
IP Address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
서버가 들어가지 않으면, IP가 안전하지 않다고 한다.
IPv4와 IPv6 두가지 체계가 있다. (2022 기준)
IPv4 (IP version 4)
가장 널리 사용되는 IP 주소.
32bit의 값을 가지며, 보통 8bit씩 끊어 0~255의 10진수 수로 나타낸다.
각각의 숫자는 점(.)으로 구분한다.
43억개의 주소공간을 가진다. -> 제한 되어있는 주소공간 탓에 주소 부족 문제가 있다.
IPv6 (IP version 6)
IPv4의 주소 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IP주소 체계.
128bit의 값을 가지며, 8개의16진수 그룹으로 표시된다. 각 그룹은 4자리의 16진수로 구성된다.
각각의 숫자는 콜론(:)으로 구분한다.
무한한 주소공간을 가진다. -> 각 장치에 고유 IP 주소 할당이 가능해졌다.
[중요]
IP와 IP주소는 다른 개념!!!!!!
Public IP
전 세계에서 유일한 IP주소로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사용한다.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사으이 위험이 있을 수 있다.
Private IP
사설망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IP주소로 외부에서는 접속할 수 없다.
지정된 범위의 IP만 사설 IP로 사용이 가능하다.
사설망 내에서 유일한 값이다. -> 다른 사설망에서 동일한 IP주소 사용해도 둘은 다른 것이다.
A Company : Private Network 192.168.0.1/22
B Company : Private Network 192.168.0.1/22
NAT + Internet gateway(proxy)를 사용해 WWW에 연결한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
사설망에 속한 여러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게 하기 위해 사용.
내부 네트워크의 IP주소 정보를 외부로부터 숨김 -> 외부 공격자가 내부 네트워크 구조를 쉽게 알 수 없음.
IPv4의 주소부족 문제 일부 완화 가능.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P 네트워크의 오류 보고 및 진단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일반 IP 헤더 뒤에 ICMP헤더를 포함한다.
오류 메시지 전달 : 네트워크상의 장애나 문제점 알림
네트워크 진단 도구 : ping, traceroute 등
정리하면서.... 새삼,, 정보처리기사 공부를 러프하게 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공부는 역시, 한번 할때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짱.. 원래, TCP/IP까지 정리해보려고 했는데 NAT, ICMP 등 생각보다 관련된 것들이 많아서 정리를 못했다... 사실 개인적으로 정리는 어느정도 해두었는데... 뭔가 블로그에는 정리해서 올리고 싶어서 그런가...

'STUDY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캡슐화, 추상화 (0) | 2024.05.13 |
---|---|
Network - TCP/IP (0) | 2024.05.03 |
Network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0) | 2024.05.01 |